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이슈

가을이 시작됨을 알리는날 "입추"

by eco-wood-1 2025. 8. 7.

1. 입추란 무엇인가? — 절기의 의미와 유래

입추(立秋)는 24 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로, 이름 그대로 가을이 시작됨을 알리는 날이다. ‘입(立)’은 ‘시작하다’라는 뜻이고, ‘추(秋)’는 가을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추는 달력상으로 가을이 들어섰음을 뜻하는 날이다. 매년 양력 8월 7일 전후, 태양의 황경이 135도에 도달할 때가 입추다. 과거 농경 사회에서는 절기를 바탕으로 농사 시기를 결정했기 때문에 입추는 단순히 계절을 나누는 기준이 아니라 생존과 직결된 중요한 시기였다.

비록 현대에는 농경 중심의 삶이 아니더라도 입추는 여전히 계절의 변화를 감지하게 해 준다. 한낮엔 폭염이 지속되지만 아침저녁으로 부는 바람이나 나뭇잎의 색, 습도의 변화 등을 통해 우리는 서서히 자연의 리듬이 달라지는 순간을 체감할 수 있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입추 이후 일교차가 커지고 평균 기온도 서서히 낮아진다. 이는 사람의 건강 관리나 생활 습관에도 적잖은 영향을 준다.

특히 한국에서는 입추를 기점으로 가을 장마가 오기도 하고, 태풍의 활동이 잦아지는 등 기후적 변동이 많아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단순한 ‘가을의 시작’이 아니라, 기후 전환기라는 점에서 입추는 더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다.

가을이 시작됨을 알리는날 "입추"

2. 입추와 우리 전통문화 — 풍속과 속담 속 입추

입추는 단순히 달력상의 절기를 넘어, 우리 조상들의 삶과 밀접한 전통문화를 담고 있다. 대표적으로 “입추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는 속담이 있다. 이는 입추를 기점으로 더위가 꺾이고, 자연스럽게 해충의 활동력도 줄어든다는 뜻이다. 물론 실제론 늦더위가 남아 있긴 하지만, 이 속담에는 계절의 전환을 피부로 느끼려는 조상들의 자연 감각이 담겨 있다.

또한 일부 지방에서는 입추 무렵 풍년을 기원하는 작은 제의나 행사가 열리기도 했다. 논밭의 곡식이 여물기 시작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입추는 수확의 희망을 품는 시기이기도 하다. 특히 농민들은 벼의 이삭이 언제 패는지를 기준으로 그 해의 풍흉을 점치곤 했으며, 이를 “입추풍(立秋風)”이라고 불렀다.

더불어 입추에는 특별한 음식 문화도 있었다. 오곡밥, 제철 채소, 국수 등을 나누어 먹으며 가족의 건강과 한 해의 풍요를 기원했다. 이런 문화는 입추가 단지 ‘가을의 시작’이 아니라, 공동체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방식을 보여준다. 현대의 우리는 이러한 전통을 잊기 쉽지만, 입추를 통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되새겨보는 기회로 삼는 것도 의미가 깊다.

 

3. 입추 이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 계절 전환기 건강관리 팁

입추는 기후와 자연의 흐름이 바뀌는 시기이므로, 건강 관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된다. 특히 낮과 밤의 일교차가 커지고, 바람의 성질이 달라지기 때문에 호흡기 질환이나 면역력 저하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 시기에는 차가운 음료나 과도한 냉방기기 사용을 줄이고, 따뜻한 음식으로 속을 보호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입추는 여전히 더운 날씨가 이어지기 때문에 자칫 방심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가을장마, 태풍, 급변하는 날씨로 인한 사고 위험이 증가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갑작스러운 비나 기온 하강에 대비해 가벼운 겉옷을 준비하거나, 실내 습도 조절을 통해 몸의 컨디션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는 면역력 관리에 더욱 유의해야 한다.

또한 입추를 맞이해 우리는 삶의 리듬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무더위로 인해 흐트러졌던 수면 패턴과 식습관을 다시 정돈하고, 가을을 준비하는 마음으로 주변을 정리하고 재정비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계절이 바뀔수록 우리의 몸과 마음도 새로운 균형을 필요로 한다. 입추는 그런 의미에서 단지 자연의 변화가 아니라, 삶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